LG CNS가 5월 30일 국내 처음으로 세계 최대 금융 특화 블록체인 컨소시엄인 R3와 사업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블록체인 사업에 나섰습니다. R3는 월스트리트의 베테랑들이 모여 분산원장 기반의 핀테크 스타트업에서 시작한 컨소시엄입니다. 2015년, 40여 개 금융 회원사를 시작으로, 현재는 국내 금융회사 5곳(KEB하나, 신한, IBK기업, 우리, KB국민)를 포함, 전 세계 80여 개 대형 금융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글로벌 유수의 금융사들과 IT 기업으로부터 역대 최대 금액인 1억 불(약 12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여 R3의 안정성과 잠재적 가치를 입증한 바 있습니다.
특히, R3는 Java를 개발언어로 지원하고 있어 개발자의 IT 구축이 쉽고 기존 금융권 시스템과 쉽게 결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블록체인 글로벌 시장은 2021년까지 2.6조 원 규모로 예상하며, 블록체인 기술 적용 산업 중에서 금융이 50%를 차지할 만큼 블록체인은 금융에 주요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협약에 참석한 R3 관계자는 “R3는 LG CNS의 금융 사업 수행 사례와 기술 역량을 높이 평가하여 상호 간 사업 파트너십을 체결하게 됐다. 코다의 우수한 분산원장 기술을 한국 내 금융을 포함한 산업 전반에 적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것에 그 의미가 크다”고 말했습니다.
l 세계 최대 금융 블록체인 컨소시엄 R3와 사업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LG CNS
: 가운데 협약서 들고 있는 R3 하재우 아시아퍼시픽 총괄디렉터(좌), LG CNS 금융사업담당 김홍근 상무(우)
향후 블록체인 기술은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하며, 제조•물류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을 이용하면 부품의 공급과 대금 지불의 프로세스가 대폭 간소화되어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또한, 의료 분야에서는 보험사에 의료비 청구 시 제출 서류 및 절차 간소화 등도 가능합니다.
LG CNS 금융사업 담당 김홍근 상무는 “이번 R3와 협업을 통해 검증된 글로벌 블록체인 플랫폼 위에 LG CNS의 풍부한 금융사업 역량을 결합하여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나아가 산업 전반으로 확대 진출할 계획이다.”라고 말했습니다.
LG CNS는 2015년 국내 최초로 블록체인 기반 비상장 기업의 전자증권을 시험 발행한 바 있으며, 이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용 블록체인 확보를 위한 다양한 분산원장 기술 역량을 축적해왔습니다. 최근에는 보험사 블록체인 컨설팅을 통해 블록체인 적용 가능 업무를 식별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LG CNS는 블록체인 전담 조직인 디지털 금융사업팀을 운영하고 있으며, R3의 분산원장에 대한 전문 인력을 지속 육성 중입니다.
[참고]
■ 블록체인 시장 규모
l Global 블록체인 시장 예측(Technavio ‘16, Gartner ’17)
● 2021년까지 블록체인 시장 규모를 $2.3B (약 2.6조원) 으로 예상
- 국내시장은 Global 시장규모의 1.6% 정도 수준으로 400억원 예상 1
● CAGR 61.6%로 타 기술대비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
● 블록체인으로 인한 파생시장 규모를 $10B (약 11조원)으로 예상
■ R3 컨소시엄
- 초기 9개의 은행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JP Morgan Chase, Credit Suisse, Commonwealth Bank of Australia, UBS, Barclays, BBVA, State Street, Royal Bank of Scotland, Goldman Sachs.
현재는 골드만 삭스, JP모건 등은 R3에서 지배적인 지분을 확보할 수 없다는 이유로 탙퇴하여, 인텔(INTL),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 HSBC와 중국 평안그룹 등 금융사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습니다.
글ㅣLG CNS 홍보팀
'CNS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CNS, 금융봇•블록체인 앞세워 디지털 금융IT 시장 공략 (0) | 2017.06.27 |
---|---|
톡 받아 결제까지 한번에! 톡페이 출시 (0) | 2017.06.15 |
LG CNS와 우리은행, LG전자 로봇서비스를 위한 양해각서 체결 (0) | 2017.05.29 |
LG CNS, 국내 기업 최대 규모 ESS시스템 해외 수출 (0) | 2017.05.16 |
LG CNS와 함께 만드는 제주, ‘ESS를 만나다’ (0) | 2017.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