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Solutions/IoT

IoT가 인테리어를 만났을 때!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IoT가 이미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고, 앞으로도 적용될 곳이 무궁무진하다는 것은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리라 생각되는데요. 이 시간에는 그 여러 가지 분야들 중 인테리어에 적용되고 있는 IoT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현대 사회의 지나친 경쟁으로 인하여 지친 사람들이 집에 머물며 여가를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고 있고, 선진국에서는 이미 집 안에 머물며 여유를 즐긴다는 의미의 스테이케이션(Staycation = Stay + Vacation)이라는 말이 생겼을 정도입니다. 


그로 인해 자신만의 공간인 ‘집’에 대한 애착이 강해지고, 자신의 삶과 스타일로 나만의 집을 표현하고자 하는 셀프 인테리어(Self Interior)가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에서도 집이 돈벌이의 매개체가 아닌 삶과 휴식의 공간으로 재평가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서 집을 꾸미려는 수요가 크게 늘어나는 추세이고, 1인 GDP가 3만 달러를 기점으로 ‘홈 인테리어’에 눈 뜨는 것은 전 세계적인 공통 추세라고 하는데요. 


시장 규모가 커짐에 따라 인테리어 관련 업계의 투자도 활발해지고 있고, 차별화 전략으로 IoT를 도입하여 상품을 개발하는 업체들이 늘고 있습니다. 사실 IoT가 등장하기 전부터 이미 IT와 인테리어는 결합을 시도하고 있었고, IT와 인테리어(Interior)를 합쳐서 ‘아이티테리어’나 ‘잇테리어’ 등으로 부르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시도들이 IoT를 만나면서 점점 진화하여 인테리어의 미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많은 스마트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어 훨씬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 IoT로 연동되는 인테리어 관련 제품들이 꾸준히 개발 출시되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 대표적인 몇 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① 조명 - 필립스 휴(Hue)


조명은 간단한 설치로 집 안의 분위기를 확 바꿀 수 있는 대표적인 인테리어 아이템입니다. 조명은 IoT 초기부터 적용되어 꾸준히 개발되어 왔습니다. 


l 필립스 휴 (출처: http://goo.gl/CHyBNN)


대표적인 IoT 조명 제품 ‘필립스사의 휴(Hue)’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지원합니다. 


  • ‘침실 조명 껴줘, 거실 조명 켜줘’등의 음성 명령 기능 
  • 출근하면 꺼지고 퇴근하면 켜지는 자동 제어 기능 (스마트폰의 위치를 인식하여 동작)
  • 원격으로 다양한 색상 및 On•Off•밝기 조절 기능 (특정 시간에 자동으로 동작하게 세팅 가능)


② 창문 - LG하우시스 스마트 윈도우


건자재 업계 3강 중 하나인 LG하우시스는 ‘아이티테리어’ 제품인 ‘스마트 윈도우’를 출시하였는데요. 플래그십 매장인 지인스퀘어에서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습니다. 

 

l LG하우시스 스마트 윈도우 IoT 오픈 알람


LG하우시스의 스마트 윈도우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지원합니다. 


  •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어디서든 창을 여닫을 수 있고, 창이 강제로 열리면 경보음이 울리고 즉시 스마트폰으로 알리는 방범 기능
  • 매직글라스를 적용하여 투명•불투명 상태 전환을 할 수 있어 사생활 보호와 채광 조절이 가능
  • 방과 거실 등에 설치한 실내 공기오염농도 감지센서와 연동하여 스스로 환기구를 개폐하고 고성능 필터가 미세먼지를 차단


③ 탁자 – 아이카이스트 터치플레이


국내 스타트업 아이카이스트는 46인치 터치스크린이 탑재된 탁자 형태의 스마트 제품인 ‘터치플레이’를 내놓았습니다. 


l 아이카이스트 (출처: http://goo.gl/IkyzHe)


아이카이스트의 터치플레이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지원합니다.


  • 46인치의 화면 크기, FHD(Full-HD) 1920×1280의 해상도
  • 밝기는 700cd/㎡로 조명이 강한 실내에서도 사용하기에 충분
  • 자료 전송과 파일 불러오기 등이 가능해 실시간 자료 공유는 물론이며 교육과 홍보, 전시, 상담 등 다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


④ 침대 - 스마트 침대 EIGHT


인디고고에서 펀딩 중인 IoT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침대 EIGHT입니다. 


l EIGHT (출처: http://goo.gl/Dz6Fy0)


스마트 침대 EIGHT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지원합니다.


  • 매트리스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온도조절
  • 수면 트래킹(밴드나 머리띠 등 몸에 아무것도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강점)
  • 스마트홈과 연동: IFTTT(If This, Then That) 자동화 기술을 탑재 예) ‘침대에서 일어나면 불을 켜라’는 명령 가능
  • 수면 패턴 등에 대한 자동 학습
  • 모바일(스마트폰•패드)로 콘트롤 가능
  • 스마트 알람 기능: 수면 사이클을 측정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기상시켜 줌


l EIGHT (출처: http://goo.gl/ksVm2y)


침대에 스마트 기능들이 덧붙여지니, ‘침대는 가구가 아니라 과학이다’라는 말이 정말 실감납니다. 


⑤ 화장대 – LG유플러스와 한샘 LTE 매직미러


LG유플러스는 가구 업체인 한샘과 손잡고 ‘LTE 매직미러’를 출시했습니다. 


l LTE 매직미러 (출처: http://goo.gl/1CW1e0)


LTE 매직미러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지원합니다.


  • 화장대 앞에 앉아 피부 상태를 정밀하게 측정 가능
  • 피부 측정 결과를 토대로 꼭 맞는 케어법, 적합한 화장품 추천
  • 전문가의 깊이 있는 피부 케어 정보를 제공


앞에서 살펴본 제품들과 같이 별도의 공사 없이도 IoT 기술을 이용하여 색다르게 집을 꾸밀 수 있는 제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뿐만 아니라 리모델링을 할 때 IoT를 접목해주는 서비스도 나오고 있는데요. SKT는 인테리어 업체들과 손을 잡고 ‘Smart [Home]’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l Smart [Home] (출처: http://goo.gl/otM386)


이 서비스는 인테리어 시에 기본적인 인테리어뿐만 아니라 IoT 환경도 같이 꾸밀 수 있게 토털

인테리어를 패키지로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l Smart [Home] (출처: http://goo.gl/s6wZmv)


작년에 ‘먹방’, ’쿡방’ 등으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면, 올해에는 ‘집방’에 대한 트렌드가 생기며 ‘집 꾸미기’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제 집은 그저 머무는 공간이 아니라 사람들에게 IT가 접목된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주며,더 편리하고 안락한 주거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IoT가 적용된 스마트홈이 대중화된다면 리모델링을 할 경우는 물론이고, 처음 집을 지을 때부터 IoT가 적용된 인테리어로 집이 꾸며지는 날이 머지않을 것 같습니다. 


글 ㅣ LG CNS IoT사업담당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LG CNS 블로그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