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디지털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발전하는 모습을 지켜보면 매우 놀랍습니다. 복합적이고 다양한 정보를 원하는 사람들의 요구에 따라, 첨단 IT 업계는 광범위한 종류의 데이터를 위치 데이터와 결합하는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위치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활용하는 IT 업계의 변화를 보면 재미있게도 이런 말이 떠오르는데요. ‘자산에는 세 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는데, 첫 번째가 위치, 두 번째도 위치, 세 번째도 위치다(There are three things that matter in property: location, location, location).’ 이 말은 부동산과 관련된 격언인데요. 위치 데이터와 이동통신 네트워크 사용량이 계속 증가하는 오늘날의 모바일 환경에서 이 격언이 어떻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얼마 전 회의 참석차 워싱턴 D.C.에 머문 적이 있습니다. 수행원들을 대동한 채 차를 타고 시내로 갔죠. 아, 그러고 보니 여러분은 제가 언급한 수행원들이 운전, 회의 준비, 메모 작성, 커피 심부름, 유용한 조언, 경호 서비스 등을 지원하는 ‘팀’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군요. 하지만 저는 단지 평범한 교수일 뿐입니다.
제가 말하는 수행원들은 바로 저의 모바일 장치들을 의미합니다. 모바일 장치가 바로 유능한 ‘디지털 수행원(Digital Entourage)’이라고 할 수 있죠. 흔히 비서들이 하는 역할을 디지털 수행원으로 대체하면서 많은 부분에서 편리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집과 도로를 오고 가는 사이의 모든 장소에서 제 스마트폰의 쓰임새는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디지털 수행원’ 업무를 스마트하게 해낼 수 있는 위치 인식 앱이 늘어나면서 저의 개인 비서 역할을 더욱 충실히 수행하게 되었죠.
<워싱턴 D.C.의 스카이라인과 워싱턴 기념비•제퍼슨 기념관이 보이는 야경>
“첫 번째가 위치, 두 번째도 위치, 세 번째도 위치다.”라는 격언의 유래와 관련해서는 여러 가지 논쟁이 있어 왔지만, 자산의 가치가 위치와 관련된 모든 정보에 좌우된다는 점은 분명합니다. 우리는 특정 장소와 관련된 모든 정보와 그 장소에서 사람들이 무슨 일들을 하는지 알고 싶어합니다. 1
최근의 제품과 서비스들은 ‘기동성(mobility)’과 더불어 ‘모바일 우선(Mobile First)’, ‘언제나 모바일(Moblie Always)’에 맞추어 설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유용한 자산은 고정 위치와 관련된 세부적인 상황 정보뿐만 아니라 정보의 생산과 소비를 위해 디지털 장치를 사용하는 특정 시간에 해당 위치에 있는 사람과 관련된 상세한 상황 정보일 것입니다.
위치 데이터를 활용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사용자의 세부적인 활동 상황까지 고려하여 특정 위치와 시간에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 미리 예측하는 것입니다. 디지털 생태계의 본질은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기반으로 각 개인의 상황에 적합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죠.
이를 위해서는 위치와 개인에 대한 데이터를 행동데이터와 매치하고, 이를 대량으로 처리할 수 있는 알고리즘과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개인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추론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첨단 IT 업계가 모바일을 중심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설계하는 이유는 위치 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들이 모바일 기기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위치 인식 기술은 사용자의 물리적 위치 관련 정보를 온라인과 결합하고, 적절한 최신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 때로는 친구들과 자신의 위치를 소셜미디어를 통해 서로 공유하도록 도와주기도 하죠.
저는 워싱턴 D.C.에서 지하철을 즐겨 탔는데요. 지하철을 이용할 때 스마트폰에 설치된 위치 인식 앱은 저에게 더없이 소중했습니다. 어느 날 아침 지하철을 타고 듀퐁 서클(Dupont Circle) 역을 출발한 후, 오전 첫 회의 전 간단히 먹을 아침 식사 메뉴를 고민한 적이 있었는데요.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을 하면 스마트폰을 통해 수집된 GPS 기반 위치 데이터가 검색 알고리즘에 반영됩니다.
이를 통해 최상위 검색 결과에 제가 좋아하는 크리스피 크림 도넛 매장을 비롯하여 가장 가까운 아침 식사 장소가 노출되는 것이죠. 크리스피 크림 iOS 앱의 경우, 검색 엔진보다 한술 더 떠서 동일한 위치 기반 데이터를 활용해 ‘방금 구워졌어요!(Hot Light is On)’라는 메시지를 비롯한 여러 가지 고객 맞춤 정보를 제공합니다.
해당 분야의 기술을 자세히 살펴보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예측하는 문제는 생각보다 훨씬 더 복잡합니다. 저는 최근에 크리스피 크림에서 몇 명의 손님들과 함께 스마트폰을 보면서 도넛과 음료를 즐겼습니다. 동일한 위치 데이터가 우리가 가진 각각의 모바일 장치에서 사용된 것이죠. 저는 위치 데이터 덕분에 제 위치를 기준으로 맞춤화된 최신 뉴스를 볼 수 있었습니다.
이 때 바쁜 매장 매니저가 모바일을 이용해 정보를 검색하는 상황을 가정해 볼까요? 클라우드를 통해 처리되는 알고리즘에는 제가 고객으로서 필요한 정보와는 달리 매장 매니저로서 필요한 정보를 예측하도록 도와주는 다른 상황 정보가 필요할 것입니다.
네트워크 서비스 공급자는 위치 기반 정보를 이용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개선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미국 통신산업협회(TIA, Telecommunication Industry Association)가 주최하는 차세대 5G 무선 서비스의 현황에 대한 회의에 참석한 적이 있는데요. 다음 세대의 모바일 통신 표준인 5G는 모바일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속도를 크게 향상시켜 건물 내부를 비롯한 대규모 사용자 그룹에 1Gbps의 속도를 지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매우 짧은 시간 내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네트워크 특성을 활용해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지원하고 저속 장치 및 센서의 대규모 기계 간 통신을 구축해 나갈 것입니다.
그날 회의에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바를 예측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 업계의 이점을 업계의 리더들과 논의했는데요. 네트워크 측면에서 특정 장소에 많은 사람이 모였을 때를 대비해 추가 대역폭이 필요한 곳을 예측해 두면 여러 장점이 있습니다.
콘서트나 스포츠 경기는 미리 계획된 장소와 일정에 따라 개최되므로 계획을 세우기가 다소 쉬운데요. 하지만 어떤 행사가 특정 지역에서 자발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수요를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2015년 골든 스테이트 워리어스(Golden State Warriors)가 NBA(미국프로농구) 우승을 차지하자, 자발적으로 모인 수많은 팬들이 오라클 아레나(Oracle Arena) 주변과 오클랜드-샌프란시스코 지역의 여러 공공장소에서 우승을 축하했는데요. 팬들이 각자의 스마트폰으로 소셜미디어 포스팅, 문자메시지 전송 및 전화 통화를 하면서 트래픽이 급증하여 결국 무선 및 Wi-Fi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했습니다. 하물며 자연재해나 인재가 발생했을 때의 네트워크 수요를 예측하는 것은 더더욱 어려운 일입니다.
네트워크 공급자는 각각의 개인화된 장치의 위치 데이터를 지역 데이터, 소셜미디어 및 검색 엔진 쿼리와 결합하여 지역별로 특정 시점에 역동적으로 맞춤화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IT 업계는 위치 데이터의 힘을 활용해 모바일 사용자 경험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입니다. 최신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위치 데이터를 이용해 ‘디지털 수행원’의 역할을 발전시켜나가고 있는데요. IT 업계는 모바일 기기 사용자들을 위한 제품 업그레이드 과정에서 위치 인식 기능의 장점들을 다양하게 활용할 것입니다. 하지만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게 되면 사용자의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권리 침해의 우려도 있습니다. 따라서, 위치 데이터 관련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소비자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노력도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글 ㅣ 존 간트(Jon Gant) 교수
● 지난 글 보기
(1) 지식 경영: 지식을 정보로 바꾸는 디지털화 (http://blog.lgcns.com/956)
(2) 스마트 시티, 데이터 웨어하우스, 데이터 레이크 및 정보 관리의 과제
- http://www.nytimes.com/2009/06/28/magazine/28FOB-onlanguage-t.html?_r=0 [본문으로] [본문으로]
'IT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기술 동향 예측으로 알아본 ‘고객의 시대’ (0) | 2016.02.15 |
---|---|
모바일 결제, 고객의 마음을 훔쳐라! (0) | 2016.01.25 |
빅데이터 기능으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활용하기! (0) | 2015.12.28 |
스마트시티, 데이터 분석과 함께 발전하다 (0) | 2015.12.21 |
퍼블릭 클라우드의 성장과 미래, 그리고 새로운 기회들 (0) | 2015.11.30 |